Deeper Learning

직관과 MLE, MAP (1) 본문

AI/Machine Learning & Data Science

직관과 MLE, MAP (1)

Dlaiml 2023. 6. 22. 10:04
동전을 5번 던져서 앞면, 앞면, 뒷면, 앞면, 뒷면이 나왔을 때, 동전을 한 번 던져서 앞면이 나올 확률을 추정하면 직관적으로 3/5라고 생각하는데 정말 그럴까?

 

 

위 질문에 대한 답을 MLE 관점으로 찾아보자.

 

Binomal Distribution, Bernoulli experiment

한 번 동전을 던지면 앞면(H) 또는 뒷면(T)가 나오게 되는데, 이는 discrete하고 가능한 값이 2개(H,T)가 전부인 베르누이 분포를 따른다.

 

매 시행이 동일한 베르누이 분포를 따르며 독립적이기 때문에 동전을 5번 던질 때 1,2,3,4,5 번째 시행에서 동전이 앞면이 나오는 횟수를 나타내는 확률변수 X1,X2,X3,X4,X5 는 i.i.d이기 때문에 동전을 5번 던질 때 앞면이 나오는 횟수를 나타내는 확률변수는 이항분포(Binomial Distribution)를 따른다. (아래 예시는 총 앞면이 3번 나온 사건이 아닌 HHTHT 사건을 관측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. 이항분포로 시작하여도 MLE 전개에서 θ 의 argmax가 포함되어서 Combination(n,k)는 후에 떨어져 나감)

 

동전을 한 번 던질때 앞면이 나올 확률을 P(H)=θ, 뒷면이 나올 확률을 P(T)=1θ 라고 하자.

5번 동전을 던져서 HHTHT가 나오는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아래와 같다.

 

P(HHTHT)=θθ(1θ)θ(1θ)=θ3(1θ)2

 

관측한 HHTHT가 나온사건인 Data를 D 라고 하고 동전을 던진 횟수를 n, 동전이 앞면이 나온 횟수를 aH , 뒷면이 나온 횟수를 aT 라고 하고 동전을 한 번 던졌을 때 앞면이 나올 확률을 p 라고 하면

 

D={H,H,T,H,T}n=5aH=3,aT=2p=θ

 

p=θ 라고 가정하였을 때 D 가 관측될 확률은 P(D|θ)=θaH(1θ)aT 로 표현할 수 있다.

여기에서 가정은 동전을 한 번 던졌을 때 동전은 θ 의 확률로 앞면이 나온다는 것이다.

θ 는 0~1의 값으로 수많은 candidate가 있는데 어떻게 가장 가능성 높은 θ 를 정할 수 있을까?

 

Maximum Likelihood Estimation(MLE)

 

무한히 많은 candidate θ 중 최적의 θ 를 고르는 방법론 중 하나는 MLE이다.

MLE는 데이터를 관측할 확률 P(D|θ) 를 maximize하는 θ 를 고르는 방식으로 식은 아래와 같다.

 

ˆθ=argmaxθP(D|θ)argmaxθθaH(1θ)aT

 

식을 다루기에 지수부분도 있고 argmax 조건이 있기 때문에 단조증가 함수인 log를 양변에 적용해보면

 

=argmaxθln(θaH(1θ)aT)=argmaxθ[aHlnθ+aTln(1θ)]

 

최대값을 구하는 문제는 미분을 활용해서 풀 수 있다. 이계도함수가 음수이므로 오목(Concave) function이기 때문에 미분값이 0이 되는 지점을 찾으면 해당 지점에서 θ 가 MLE 관점에서 최적의 θ 가 된다.

 

ddθ(aHlnθ+aTln(1θ))=0aHθaT1θ=0θ=aHaH+aT

 

즉 MLE 관점으로 도출한 best candidate ˆθ33+2=0.6 으로 동전은 60%의 확률로 앞면이 나온다고 추정할 수 있다.

 

여기에서 의문이 생기는데

  1. 동전을 5번 던져서 모두 앞면이 3번 나오면 MLE 관점으로는 60% 확률로 앞면이 나온다고 추정하고 동전을 100번 던져서 앞면이 60번 나올 때도 마찬가지로 60% 확률로 앞면이 나온다고 추정하는데 괜찮은가
  2. 동전은 보통 50% 확률로 앞면이 나온다는 사전지식이 있는데 n 이 작을 때 이 결과를 신뢰해도 괜찮은가

 

위 의문은 모두 사전지식(prior knowledge)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의문으로 사전지식을 반영하여 최적의 추정값을 고르는 다음 글에서는 이어서 MAP 관점으로 다시 문제를 해결해보겠다.

 

 

Reference

[0]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3AwO0O6hWBI&list=PLbhbGI_ppZISMV4tAWHlytBqNq1-lb8bz&index=3 (AAILab Kaist 기계학습, Machine Learning, 문일철 교수님)